'2025/05/24'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5.05.24 [영화-아노라] 사람이 행복할 권리 1
만끽!2025. 5. 24. 23:58

 

<아노라>에서 션 베이커 감독의 앞선 대표작인 <플로리다 프로젝트>를 연상하게 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사실 베이커 감독은 적지 않은 작품 속에서 미국내 소외되고 취약한 계층들의 이야기에 카메라를 깊숙이 들이미는 연출을 일관성 있게 해 왔는데, <아노라>역시 그 작품세계의 연속선상에 있는 영화이고 그래서 그의 전작들에서 기시감이 느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일 수밖에 없다.

 

특히 <플로리다 프로젝트>와는 이란성 쌍둥이처럼 보일만큼 흡사하다. <플로리다 프로젝트>는 10번 가까이 볼 만큼 내겐 '인생영화'의 범주에 들어가는 명작인데, <아노라>의 아노라(혹은 애니)는 마치 무니의 성인 버전을 보는 것 같은 감정을 전해준다. 척박하다 못해 시궁창같은 환경에 빠져 있지만 그런 조건에 흔들리지 않고 최선을 다해 밝고 명랑하게 삶을 즐기려는 태도, 행복하게 살고자 하는 희망, 그리고 그런 행복을 추구하는 데 있어 단순하고 순박한 성격에서 무니와 아노라는 닮아있다. 

 

아노라는 뉴욕에서 스트리퍼로 생계를 유지하는데 손님이었던 러시아 재벌 2세 이반을 만나게 되면서 새로운 세계를 만난다. 자신에게 홀딱 빠진 이반이 청혼을 하자 어두운 생활을 청산하고 신데렐라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덜컥 결혼식을 올리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이 결혼을 승낙할 리 없는 이반 부모의 힘과 냉혹한 현실 세계를 마주하고 만다. 아노라가 자신이 겨우 안착했다고 믿은 행복을 지키기 위해 홀로 고군분투하는 과정이 이 영화의 주된 내용이 되겠다.

 

영화의 내용은 어찌보면 매우 단순하지만, 감독은 마치 한 편의 소동극으로 이야기를 경쾌하게 풀어나간다. 켄 로치에 버금가는 강한 계급주의적 작품 철학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션 베이커 감독이 한층 더 기대되는 지점은 바로 이런 디테일한 연출과 위트 때문이다. 매우 흥미로우면서도 매우 무거우면서도 매우 웃기면서도 매우 슬프면서도 매우 따뜻한 여러가지 모순된 감정들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 션 베이커 영화의 매력 포인트다. 

 

결혼을 취소처리 하려는 이반 부모의 태도는 자신들이 가진 힘을 조금도 절제할 생각이 없다는 듯 천박하고 무자비하다. 사람에 대한 예의와 배려는 애저녁에 쌈싸먹은 이 사람들은 자신들의 돈 아래 있는 사람들을 도구화하고 물질화 하는데, 그 모습은 우리가 사는 자본주의 체제의 잔혹함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반면 아노라와 러시아 재벌가가 만든 영화 내 계급 체계 가장 말단에 있는 이고르는 가장 품위있는 인간성을 보인다. 이반의 부모는 마치 천한 아노라가 자신들의 재산을 노리고 이반을 꼬신 것처럼 여기지만, 청혼을 한 것은 이반이었고 아노라가 확인하고자 했던 것은 돈이 아니라 오직 그의 진심, 사랑이었다. 일찌감치 육체적인 관계를 '매매'의 대상으로 삼았기에 아노라에게는 자신의 성을 결혼을 목적으로 한 수단으로 삼을 이유가 없었다. 오히려 그녀가 마지막까지 희구했던 것은 매우 고답적이게도, 자신에 대한 이반의 마음, 그것 하나였다.

 

영화 말미에 결국 모든 것을 빼앗긴 뒤 그녀는 불현듯 이고르에게 다가간다. 하지만 그건 그를 사랑하게 돼서가 아니다. 그녀에겐 그에게 고마움을 갚을 방법이 그것 뿐이었기 때문일게다. 그러나 이고르가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려는 순간 아노라는 감정이 북받치고 만다. 그녀가 입은 상처는 기실 마음의 상처이고 사랑의 배신이었기 때문에, 채 아물기도 전에 들어오는 이고르의 마음이 외려 상처를 덧냈던 것이었으리라.

 

어떠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늘 웃으며 즐겁고자 했던 무니가 영화의 말미에 울음을 터뜨렸던 것처럼, 아노라도 마지막 순간 꾹꾹 눌러왔던 울음을 터뜨린다. 자신의 행복을 지키기 위해 꿋꿋하고 억척스럽게 버텨왔던 그녀였던 것을 알기에, 그녀가 무너진 그 순간에 관객의 마음도 같이 무너진다. 그녀의 울음을 목도하자마자 영화가 닫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연민과 애틋함과 슬픈 감정이 마구 소용돌이 치며 긴 여운이 남는다. 그녀의 앞으로의 행복한 삶을 빌게 되면서.

 

이고르는 <플로리다 프로젝트>의 바비와 같은 존재다. 험난한 투쟁을 하고 있는 연약한 그녀들이 그래도 숨통을 트일 수 있도록 옆에서 묵묵히 관찰하고 위로해주는 사람이다. 그리고 <플로리다 프로젝트> 때도 그랬지만, 이고르는 감독이 관객에게 설정해 준 역할이기도 하다. 이 소외되고 상처받은 이들이 잘 버티며 살아나갈 수 있도록 멀지 않은 거리에서 애정어린 눈빛으로 지켜보고 응원해 주라고. 너무 쉽게 다가가지도 그렇다고 외면하지도 말고 그 정도 거리에서 그 정도 사람다운 역할만 해도, 그들은 이 풍진 세상에서도 꿋꿋이 잘 참고 이겨내며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이다. 

 

★★★★☆

Posted by the12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