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끽!2024. 12. 26. 14:25

삶의 낙을 FC서울에 의탁하다 보니 유튜브 알고리즘도 온갖 축구 콘텐츠를 밀어 올려주는데, 덕분에 넷플릭스에 '프로축구의 태동기'를 다룬 드라마가 있다는 사실까지 알게 됐다.
 
그리하여, 2020년에 공개됐던 넷플릭스 오리지널 6부작 <잉글리시 게임>을 뒤늦게 보았다.
 
유럽의 프로 축구를 보고 누군가 "수만명의 거지들이 22명의 백만장자가 뛰는 걸 보는 스포츠"라고 평했다던데, <잉글리시 게임>은 바로 그 '백만장자'들이 처음에 어떻게 시작됐는지를 그린 드라마이다. 19세기 축구가 막 인기 스포츠로 뿌리내리기 시작하던 시기, 실존인물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축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비되지 않은 전략 전술이나 다듬어지지 않은 규칙과 같은 초기 축구의 거친 형태를 보는 재미를 준다. 불법인 상황에서 전업 축구 선수를 몰래 스카웃한다거나 다시 경쟁팀에 빼앗긴다거나 그러다 이적료를 지불한다거나, 나아가 축구 경기 관람권을 돈받고 판다거나 하는 프로스포츠의 개념이 처음 등장하는 것을 보게 되는 것도 흥미롭다.
 
초기의 현대 축구는 규칙을 제정했던 엘리트 귀족들이 주도권을 행사한 '아마추어 스포츠'였다고 한다. 귀족들은 FA를 설립해 임원을 도맡아 하며 규칙을 제개정했고, 동시에 올드이토니언스라는 팀에 참여해 경기에 뛰면서 FA컵을 독식해 왔다. 축구의 인기가 높아지자 공장 자본가들은 자신의 노동자들로 팀을 꾸려 운영하기도 했는데, 성적을 더 높이고 싶었던 다웬의 방직공장주가 멀리 스코틀랜드에서 공 좀 차던 퍼거스 수터와 지미 러브에게 별도의 돈을 주고 다웬으로 데려오면서 축구판에 파란을 일으키기 시작한다.
 
축구의 순수성(!)을 주창하며 돈을 위해 뛰는 선수가 있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던 FA의 귀족들은, 공정성을 저해한다며 프로축구 선수의 등장을 봉쇄하려 한다. 그러자 올드이토니언스의 주장이자 에이스인 아서 키네어드가 나서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좋은 음식을 먹고 여유롭게 훈련도 하고 그래서 체격도 체력도 좋다. 그러나 저 노동자들은 수십시간씩 노동으로 지친 상태에서 훈련도 제대로 못하고 먹는 것도 열악하다. 그렇다면 이런 상태에서 우리가 저들과 경쟁하는 것은, 과연 공정한가?"
 
애초에 출발선이 다를진대 다름아닌 '공정'을 내세우며 기계적인 눈 앞의 조건만 맞추려는 것은 사실상 '불공정'에 다름 아니라는 얘기다.
 
아서 키네어드도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었다. 승부에 집착하던 초반부에 그는 자기 팀의 구성원들이 FA임원이라는 점을 활용해 규칙을 유리하게 적용하며 퍼거스 수터의 다웬FC를 꺾는다. 그런데 비겁한 자신의 모습에 실망하는 아내의 표정에 가책을 느끼게 되고, 아내를 통해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노력한다. 그리고 우연한 기회에 노동자들이 처한 현실을 직시하면서 마침내 균형감을 갖춘 사람이 된다.
 
축구를 소재로 했으나 사실은 공정에 관한 이야기다. 그리고 또한 두 계급 사이 축구 경기 이야기를 펼쳐내고 있지만, 보편적 공정성보다 계급간의 차이와 비례적 공정의 가치가 더 강조돼야 함을 힘주어 짚는다. 그걸 <잉글리시 게임>이라는 제목으로 둘러 축구 종주국으로서의 자부심을 슬며시 과시함과 동시에, 영국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라는 점도 분명히 한다. 영리하다.
 
어느 스포츠가 그러지 않으랴만, 축구는 공정함을 지향한다. 초기의 어설펐던 규칙들이 계속 개정돼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다듬어졌던 것도 조금 더 공정한 게임을 만들어 나가는 노력의 과정이었다. VAR도 처음엔 축구의 순수성을 운운하며 저항했던 자들이 있었지만, 오심이 선수들의 공정한 노력을 훼손해선 안 된다는 원칙적인 목소리가 더 컸기에 도입됐고 지금은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축구의 일부가 되었다.
 
드라마에 나온 FA는 처음엔 플레이어이자 규칙 제정자의 모순된 위상을 지니며 불공정하고 탐욕스러운 주체로 비쳐지지만, 아서 키네어드와 같은 사람의 노력으로 이내 공정한 운영자로 자리를 잡는다. 그리고 그 결과 축구는 엘리트 귀족들의 전유물에서 벗어나, 만인의 사랑을 받는 스포츠로 발전해 나갈 수 있게 된다. 공정성은 축구가 사랑받을 수 있는 가장 절대적인 가치다. 공정성이 훼손된다면, 그런 축구는 의미가 없다. 세상에 누가 불공정한 경기를 보고 싶어 하겠는가.
 
그런데 고개를 돌려 보니, 우리의 축구협회는 19세기 FA보다 미개하구나... 공정성이 결여된 성취가 반가울 리 없다. 축구의 정신을 뿌리째 훼손하고 있는 자들 같으니.. 정몽규와 홍명보는, 이제 그만 나가라. 쫌!
Posted by the12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