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TV 제작팀 그러니까 편집 부서는 남이 만든 뉴스 꼭지들을 가져다 방송으로 내보내는 일을 하는 곳이다. 뉴스 진행도 있지만 그 밖에도 기사들을 모아 하나의 뉴스로 내 보내기 위한 각종 일감들이 있다. 새 팀에서 내가 받은 첫 번째 롤은 '어깨걸이', 이른바 '이펙트'다. 신문 용어로는 '미다시' 즉 기사의 제목을 뽑는 일이다. 앵커의 어깨에 얹어지는 그림에 붙을 제목을 만드는 것이다.
신문도 단수에 따라 글자 수에 제약을 받겠지만, 방송 뉴스의 경우엔 어깨걸이가 늘 같은 사이즈이다 보니 글자 수가 아예 정해져 있다. 그러니깐, '8자를 넘기지 말라',고 한다. 어깨걸이 좌우 길이의 일정함 때문에 글자 수가 8자를 넘어가면 글자 모양이 위아래로 길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혹은 글자가 빽빽하게 들어차 모양이 안 좋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람이 한 눈에 읽기 좋은 글자 수가 8자 정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이펙트 작업의 핵심은 8글자 안에 기사의 내용을 녹여내는 일이다. 기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나 메시지를 간파해 한 눈에 알 수 있게 전달하는 역할인 것이다.
근데 이게 말처럼 쉽지가 않다. 기사의 주제를 간파하는 일이야 평균적인 독해 능력만 있으면 가능한 일이지만, 그걸 8글자 안에 우겨 넣는 것이 쉽지 않다. 아니다. 8글자 안에 우겨 넣는 것 자체도 그닥 어려운 일은 아니다. 딱딱하게 기계적으로 기사를 요약해 이펙트를 만들면 되는 일이긴 하다.
하지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길을 찾는다거나 다른 어깨걸이들과 차별화 되고 재밌기까지 한 이펙트, 더 나아가 거기에 이펙트를 만드는 사람의 '숨은 의도'를 담아내려 든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전달효과, 차별화, 그리고 메시지 전달 등을 오로지 8글자 안에서 이뤄내야 한다는 것이니 단순한 듯 보이지만, 이건 말하자면 사실, 고도의 창의력을 요구하는 두뇌 노동인 셈이다.
쉽지 않은만큼 이게 또 썩 매력적이다. 뭐 솔직히 말해, 기계적으로 관성에 빠져 대충대충 적당히 할 수도 있다. 8자 안에서 노는 이펙트라는 게 실은 거기서 거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 무게감을 주기 위해선 튀지 않는 건조한 이펙트가 적합하기도 하다. 하지만 내게는 반짝 반짝거리는 이펙트를 만들어내는 재미가 적잖이 쏠쏠하다. 원고에 기대지 않는 독창적인 이펙트, 짧지만 강한 인상을 주는 이펙트, 그리고 시청자들에게 기사의 방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는 이펙트 말이다. 그런 게 부지불식간에 툭 튀어나오는 순간엔, 짧은 희열마저 느끼게 된다.
당연한 얘기지만 머리를 많이 굴릴수록 좋은 이펙트가 나온다. 난 딱딱하게 굳어있는 내 머리를 다시금 조금씩 말랑말랑하게 만들어 나가고 있는 중이다.
calvin.